<p></p><br /><br />과거 사육이 허용됐던 반달가슴곰들이 굶주림 속에 방치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현행법상 10년이 지나지 않은 곰은 살처분할 수도 없고, 농가에서는 사육할 사정도 안된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정하니 기자의 더깊은 뉴스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뙤약볕에 방치된 곰들이 가쁜 숨을 몰아쉽니다. <br> <br>녹슨 우리 안에는 물 한 방울 찾아볼 수 없습니다. <br> <br>가슴에 선명한 반달무늬. <br><br>멸종위기종, 반달가슴곰입니다. <br> <br>원래 있던 안성의 농장에서 탈출 사고가 잇따르자 다른 사육장으로 옮기려 했지만, 이마저도 좌절되면서 오도 가도 못하는 신세가 된 겁니다. <br><br>'천덕꾸러기' 반달가슴곰의 비극 <br> <br>사육시설은 갖췄지만 주민들은 결사반대입니다. <br><br>[박진호 / 난실 2리 이장] <br>"무서워서 오겠어요? 무서워서? 냄새도 엄청날 거고." <br> <br>"저 사람이 언제든지 곰을 싣고 들어올 수 있잖아요. 그런 거를 막기 위해서 주민들이 할 수 있는 행동은 이것(차도를 막는 것)뿐이 없어요." <br> <br>해결책을 찾지 못한 주인은 곰들을 공터에 방치해 버렸습니다. <br> <br>[A 씨 / 사육곰 주인] <br>"특별한 대안이 없고… 대책을 세워라. 안 그러면 이거 지리산에 가져가라. 나는 그렇게 이야기를 했거든." <br><br>전국 33곳의 사육시설에 있는 반달가슴곰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. <br> <br>마실 물이 있기는 하지만 오물이 잔뜩 섞여 있습니다. <br> <br>허기를 견디기 어려운 곰들은 철창 사이로 풀을 뜯어 먹습니다. <br> <br>앞발 한쪽을 잃은 곰은 철창 앞을 떠나지 못합니다. <br> <br>곰 주인은 사육을 포기한 채 농사를 짓기 시작한 지 오래입니다. <br> <br>[B 씨 / 사육곰 주인] <br>"(곰들이) 연명만 하는 거지. 지금 겨를이 없어요. 곰에 대해서. 수확 철이라 지금 최고 바쁜 시기에요. 끊을게요." <br> <br>사육곰이 천덕꾸러기 신세로 전락한 것은 수지타산이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반달곰 보호여론이 커지면서 주 수입원인 웅담 판매가 줄고 사육곰 증식마저 금지되면서 1,400마리까지 늘었던 사육곰 숫자는 570여 마리까지 줄었습니다. <br> <br>[김광수 / 곰 사육 농가] <br>"새끼도 못 낳지, 웅담도 안 팔리지. 그럼 농가가 어떻게 살아가요. 죽일 순 없잖아요. 빚을 얻어서 (먹이를) 주는 거죠. 많이는 안 먹이지. 소량 급식, 소량 급여를 해주지. (다른 데는) 삐쩍 말라가지고 있는 곰들도 있어요." <br> <br>문제는 또 있습니다. <br> <br>특수가축인 곰에 대한 명확한 관리 감독 기준도 없다는 겁니다. <br> <br>10년 이상된 곰의 웅담 채취는 합법이지만 제대로 된 규정이 없어 사육장 내에서 도축이 이뤄집니다. <br> <br>[김광수 / 곰 사육 농가] <br>"농장 내에서 혐오감을 주지 않게 도축하는 걸 허용한다고 돼 있어요. 정화시설 이런 것도 없고 그냥 하라는 거죠." <br> <br>웅담 외에 다른 부산물의 판매는 금지돼 있지만 이 또한, 암암리에 웅담과 함께 판매됩니다. <br> <br>[C 씨 / 곰 사육농가] <br>"고기를 버리겠냐고. 지금도. 버린다니 말도 안 되는 얘기야." "그 뼈는 가지고 가서 약 내리는 집에 가서 중탕 내리지. 고기는 먹고." <br> <br>정부는 최대한 빨리 곰 사육을 끝내기 위해 마리당 300만 원씩 폐업 지원금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했지만, 사육농가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[김광수 / 곰 사육 농가] <br>"1년에 (마리당) 250만 원 정도 사육비가 들어간다고 봐야 해요. 그러면 10년에 2,500만 원이에요. 그 폐업 지원비. 마리당 300만 원씩 줘가지고 폐업 지원이 되냐고." <br> <br>결국, 남아 있는 곰들이 웅담 채취를 위해 도축되고 나서야 끝나는 곰 사육. <br> <br>비좁은 철창 속에서 연명하는 불행한 운명을 하루빨리 끝내야 할 때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하니입니다.